본문 바로가기
독서기록

[독서기록] 모든 비즈니스는 브랜딩이다, 홍성태

by 에스제이엘 2022. 9. 22.
반응형

 

 

 

책소개


브랜드, 브랜딩, 퍼스널 브랜딩, 브랜딩 전략, 감성 브랜딩… 포털 사이트에 ‘브랜딩’이라는 단어를 검색하면 비슷해 보이는 연관검색어들이 주르륵 따라나온다. 이처럼 브랜드에 대한 담론은 이미 포화 상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브랜드를 다룬 책 역시 마찬가지다. 어쩌면 이 책을 읽는 독자들 역시, “또 브랜드 얘기야?” 하며 눈살을 찌푸릴 수도 있을 것이다. 브랜드를 다룬 책들이 차고 넘쳐나는 시대이기에.

 


하지만 브랜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하물며 작은 동네빵집도 ‘브랜드’ 없이는 살아남기 힘들지 않은가. 기업들이 내놓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이 우열을 가리기 힘들 만큼 엇비슷해지면서, 이제는 소비자의 마음에 어떠한 인식을 심어주느냐가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고 있다. 브랜딩을 단순한 마케팅 기법이나 네이밍 등으로만 여겨서는 치열한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기 힘든 것이다.

 


이 책은 모든 비즈니스는 브랜딩이라는 책의 제목처럼, 비즈니스를 하는 사람이라면 조금도 소홀히 할 수 없는 브랜딩의 중요성을 쉽고 친절하게 안내하고 있다. 브랜딩의 다양한 의미를 제시하는 한편 브랜딩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있기에, 책을 읽고 난 후에는 브랜딩이 어째서 모든 비즈니스의 핵심영역인지를 실감하게 될 것이다.

 


이 책의 저자는 탁월한 강의능력과 저술활동 등으로 마케팅 분야의 최고 권위자로 불리는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의 홍성태 교수이다. 그는 탄탄한 학문적 역량과 수많은 기업을 컨설팅한 경험을 기반으로,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는 데 성공한 브랜드의 비결을 밝힌다. 애플, 앱솔루트 보드카, 맥도날드 등 이 책에 등장하는 다양한 사례들은 살아남은 브랜드와 사라진 브랜드의 차이를 명확히 보여준다.

 


그렇다고 이 책을 단순한 브랜드 성공사례집으로 여긴다면 오산이다. 이 책은 브랜드가 명사가 아니라 동사라는 전제 하에 브랜딩의 본질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저자는 브랜딩을 브랜드의 ‘탄생’과 ‘체험’이라는 두 개의 축으로 나눈다. 1부 ‘브랜드 탄생’은 브랜드 컨셉의 도출과 활용이다. 고객을 사로잡으려면 제대로 된 브랜드 컨셉을 뽑아내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2부 ‘브랜드 체험’은 소비자가 브랜드를 보다 잘 체험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다. 어떤 브랜드를 구매하려고 고심하는 동안, 그리고 구매 후 사용하는 동안 소비자가 느끼고 경험하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이 책은 저자가 심리학을 기반으로 하는 마케팅 교수인 만큼, 소비자 심리의 관점에서 자상하게 설명해주는 강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각 부가 끝날 때마다 브랜드 컨셉을 도출하고 브랜드 체험을 관리하는 데 중요한 각각의 일곱 가지 요소를 체크 리스트로 정리함으로써, 브랜드에 의미를 부여하고 재미를 만끽하는 과정을 쉽게 체화할 수 있도록 했다.

 


나아가 저자는 브랜딩이 더 이상 단순한 마케팅 수단이 아니라, 기업의 가치를 드러내고 전략을 수립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핵심영역이라고 역설한다. 여기서 브랜드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뛰어넘어, 기업의 컨셉이나 비전, 구성원들의 주인의식 및 기업문화까지도 아우르고 있다. 브랜딩이 소비재 품목뿐 아니라 어떤 비즈니스에서도 소홀히 할 수 없는 경영의 핵심임을 다시금 깨우쳐주는 것이다. 비즈니스를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내용인 만큼, 마케팅 담당자뿐 아니라 일반 사원부터 CEO, 브랜딩에 관심이 있는 모든 이들에게 더없이 유용한 지침서가 되어줄 것이다.

 

책 속 글귀


혹시 ‘사자’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십니까?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자라고 하면 갈기를 휘날리며 사냥하는 모습을 먼저 떠올립니다. ‘독수리’라고 하면 언제나 힘차게 날아다니는 것을 연상하는 것처럼요. 하지만 사자는 거의 하루 종일 잠을 잡니다. 깨어 있을 때조차 대부분 어슬렁거리다가 사냥할 때 잠깐 뛸 뿐입니다. 독수리도 날 때보다 앉아 있을 때가 훨씬 더 많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떠올리는 이미지는 다릅니다. 이처럼 사람들은 특징을 잡아 기억하기를 좋아합니다.

 


브랜드도 마찬가지입니다. 강한 브랜드가 되려면 사람들의 머리에 간판 제품의 특징을 심어주어야 합니다. 사람들은 그 간판 제품의 컨셉, 즉 홍보용 제품의 이미지로 그 브랜드를 기억하기 때문입니다. 오리온이 제과업체로서 굳게 뿌리를 내린 데는 초코파이의 공이 큽니다. ‘정情’이라는 이미지의 후광으로 제품품목을 확장(brand extension)시켜 지금은 스낵류, 비스킷, 초콜릿, 캔디, 치클껌 등 다양한 품목들이 오리온이라는 브랜드를 달고 잘 팔려나갑니다.


원츠를 자극하는 것이 꼭 비싼 명품에만 해당되는 건 아닙니다. 청심환 아시죠? 우황이나 산약 등 여러 한약재로 만든 환약으로 중풍이나 뇌졸중 등에 쓰는 위급약입니다. 어쩌다 한 번씩 먹는 약인데, 일 년 중 몇 월에 가장 ‘니즈’가 높을까요? 아주 추운 12월보다 추워지기 시작하는 11월에 그 수요가 많은 모양입니다만, 그러면 언제 가장 적게 팔리겠습니까? 아주 더운 8월 같은 때는 일사병 등으로 오히려 수요가 좀 있고요, 날이 따뜻해지는 5월에 수요가 가장 떨어집니다. 그러니 5월에 매출이 가장 적겠죠? 헌데 그렇지 않습니다. 월별로 따지면 5월에 매출이 가장 많답니다. 왜 그럴까요?
11월에 할아버지가 쓰러지시면, 손주가 약국에 뛰어가 기껏해야 한두 알 사옵니다. 그러나 당장 쓰일 일은 적지만, 5월에는 어버이날이나 스승의 날 선물로 사기 때문에 10개 묶음으로 포장된 걸 사갑니다. 기능만 생각하며 판매하려고 했을 땐 보이지 않던 시장이 생겨나는 겁니다.

 


이처럼 니즈에 국한되지 않고 원츠를 보면 새로운 시장이 보입니다. 이제 마케팅은 욕구를 자극할 아이디어를 찾는 아이디어 게임이라 볼 수 있습니다. 〈러브 액추얼리〉라는 영화를 보면, 주인공이 관심 있는 여성에게 크리스마스 선물로 무엇을 받고 싶은지 묻습니다. 그러자 그 여성이 이렇게 말합니다.
“필요한 것보다 제가 원하는 것으로 주세요.”
‘니즈’가 아니라 ‘원츠’가 이 시대의 가치임을 대변해주는 말이 아닐까요.


디자인 마케팅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내용은 디자인을 마케팅에 잘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죠. 디자인이 세계적인 핫 이슈가 되었던 2002년, 세계적 경제지〈포브스Forbes〉가 전 세계 럭셔리 브랜드luxury brands에 순위를 매긴 바 있습니다. 이 랭킹에 들기만 해도 대단한 거죠. 대부분 알 만한 명품들입니다. 20위의 아르마니부터 랑콤, 조니워커, 루이비통, 메르세데스 벤츠, 롤렉스, 샤넬 등….알려진 명품 브랜드는 다 있네요. 그런데 그중에서 유독 눈에 띄는 브랜드가 있습니다. 바로 1위를 차지한 ‘앱솔루트 보드카’입니다. 사실 앱솔루트는 최상품도 아닙니다. 북유럽이나 러시아 사람들이 높게 평가하는 보드카는 따로 있습니다. 멋진 디자인의 병 모양이 독특하긴 합니다. 다른 술병처럼 종이 레이블을 붙인 게 아니라 브랜드를 양각으로 새긴 데다 병과 글자색의 조화도 아름답습니다. 그러나 술병의 독특한 디자인만으로 세계적인 럭셔리 브랜드들을 제치고 1등을 한 건 아니겠죠.

 


이들은 독특한 병 디자인을 마케팅에 십분 활용했습니다. 병 모양을 패러디한 미술 시리즈(Absolut art campaign), 도시 시리즈(Absolut city campaign), 계절 시리즈(Absolut season campaign) 등의 광고를 통해 소비자들의 흥미를 극도로 유발한 것이죠. 가령 도시 시리즈는 각 도시의 특징을 병 모양과 연결시킨 기발한 광고로 사람들의 흥미를 자아낸 것입니다. 앱솔루트 에든버러는 스코틀랜드의 고유의상을 활용한 광고인 것 같습니다. 암스테르담에 가면 안네 프랭크가 살던 집이 있는데, 이를 눈여겨보면 앱솔루트 병 모양처럼 보입니다. 로마의 경우 영화〈로마의 휴일〉에 나오는 유명한 스쿠터를 병 모양으로 재치 있게 표현했네요. 스페인 바르셀로나는 건축가 가우디의 도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앱솔루트 바르셀로나는 가우디의 건물벽화 모양으로 보드카 병을 그린 것이 눈에 띕니다.



반응형